본문 바로가기

건설업

(33)
건설업 중대재해처벌법 알아보기 건설업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중대재해처벌법이란? 2022년 1월 27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중대재해처벌법은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 안전조치를 소홀히 한 사업주나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의 징역형 처벌을 내리 도록 한 법입니다. 중대재해로 규정하는 경우는 다음 중 하나에 해당했을 때 입니다. ①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 ②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이상 발생 ③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 중대해재처벌법은 산업재해를 줄이려는 목표로 2020년 1월에 시행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 보다 처벌 수위를 높였습니다. 현재 중대재해처벌법은 50인 이상의 사업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 1월 27일..
건설업 분야 자격증 건축기사, 건설안전기사 알아보기 건설업 분야에서 필요한 자격증인 건축기사와 건설안전기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건축기사 건축기사는 건축물의 계획 및 설계에서 시공에 이르니까지의 전체 과정에 대한 공학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기술인력으로 하여금 건축업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안전한 건축물 창조를 위한 자격제도입니다. 건축시공에 관한 공학적인 기술이론을 활용해서 건축물 공사의 공정, 품질, 안전, 환경, 공무관리 등을 통해서 건축 프로젝트를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공종별 공사를 진행해 시공에 필요한 기술적 지원을 하는 등의 업무 수행을 하게 됩니다. 건축기사는 5년 평균 합격률이 필기는 34.7%, 실기는 37.7%로 꽤 낮습니다. 그만큼 어렵고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는 만큼 준비를 잘해야 합니다. 건축기사 필기 실기 연도 응시 합격 합격률..
건설업계 이슈 무량판구조 아파트 철근 누락 관련 정리 건설업계에 가장 큰 이슈인 무량판구조 아파트의 철근 누락 이슈와 관련하여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무량판구조 검단 신도시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의 붕괴 사고 원인이 무량판 구조 때문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고 지난해 1월에 붕괴한 광주 화정 아이파크도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무량판 구조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무량판 구조는 내력벽이나 수평기둥인 보없이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라서 수평의 하중에 취약하다는 의견입니다. 그러나 건설업계에서는 무량판 구조의 공법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합니다. 이미 무량판 구조로 지은 건축물이 다수이며 외국에서도 인정받은 안전한 공법입니다. 그러나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정확한 공법대로 설계와 시공을 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아파트의 대표적인 바닥구조는..
건설업 건설현장 산재신고 총정리 건설업 건설현장에서 산재가 발생했을 때 산재신고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건설사고 발생신고 -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 건설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에 먼저 신고를 해야 합니다.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의 건설사고 신고의 목적은 발주처를 제외한 건설공사에 참여하는 주체는 모든 건설사고를 국토교통부에 신고를 해야 하며 건설사고 통계를 관리하고 정책자료로도 활용합니다.(건설사고 사실을 가장 먼저 알게 된 곳에서 신고를 하면 됩니다.) 최초 사고 신고 기한은 발생 6시간 내 입니다. 건설사고 신고가 접수되면 발주청 또는 인허가기관에서 사고조사를 하여 48시간 이내에 사고조사내용을 추가로 입력합니다. 그다음에 국토안전관리원에서 사고내용을 확인하고 추가조사..